단순히 인간중심적인 말이 아닐수 없다
인간이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 들여오고 나서 이제는 효용가치가 사라져 방치하고 나니 인간에게 역으로 피해를 준다하여 생태교란 식물이란 미명하게 살육을 자행하고 있는것이다
주기적으로 환경단체나 도자지체에서 유해하다고 하여 지정하여 많은 인력과 돈을 쏟아붇고있다
그럼 토착식물이란 무었인가 이말자체에도 모순 투성이 이다 토착의 기준이 국내에 언제 유입되었는지의 기준이 에매 모호하다 신석기시대,고조선시대,삼국시대,고려시대,근대,현대 도대체 언제를 기준으로 도착식물이란 말인가
내기준으로 정의하면 토착식물이란 없다 언제유입되었던지 상관없이 국내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했으면(심지어번식력이 무척왕성해서 타 식물을 밀어낸다고 해도) 토착식물인 것이다
결국 인간의 그들의 경쟁에 개입할 필요가 없는것이다(우리가 개입하여 주관적인 생각으로 이지경이 되었다면 우리인간의 업보인 것을)
먼미래는 이들지정된 식물또한 또 어는 식물또는 동물에의해 도태되지 말란법은 없다 언젠간 자연의 균형은 저절로 맞추어 나갈것이다
여기서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식물이란 말은 당연히 설명할 가치가 없을것이다
아래 세가지 야생화(야생화 탐방이니 야생화라 표현하겠다)를 기준으로 살펴보겠다
여기서 잠시 내나름대로의 야생화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가보자
야생화 정의:우리나라에 언제 도입됬는지 불문하고 그것이 식용(약용)이든 관상용이든 상관 없이 인간의 관섭없이 들이나 강, 산에 펴져나가 2대 이상내려오고 스스로 개체 수의 증가 및 개체 범위를 증대시킬수 있으면 야생화라할것이다
1.도깨비 가지(인천 월곶항구 가로수 밑에 자생)
생태교란식물로 2002년에 지정되었다함
이또한 양지식물로 숲속에서는 자랄수 없는 식물이란다
우리나라는 들에 나무가 없는 나라에 속한다 인간의 몰지각한 개발과 나무의 벌목으로 인 해 들에는 나무가 거의 없기에 이식물이 자랄수 있었을것이다 이들판이 수목으로 천이가 이루어진다면 자연히 자리를 양보할것이다
꽃이 어찌이리 요사스리 이쁜지요 |
저 잎사귀 속에 무시무시한 가시가 내발을 찔를뻔 했지요 |
2.칡(양재천 생태 탐방길에서 만난)
생태교란식물로 지정되지 않았다
우리토종식물이란 말에 어느정도 관대하게 대접받는 식물이다(일부 지차체에서는 제거작 업을 하고있지만)
그런데 이식물은 무서운 번식력을 자랑하며 모든 경사면이나 절개지를 점령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이식물을 우리와 같이 외국에서 온 생태교란식물이라 지정한다니 아이러니라 할수 있다
다른식물과 섞여 있으나 내년에는 어찌될런지) |
넓은 잎때문에 다른식물이 햇볕을 못받아 도태된다나 어쩐다나 |
이선굵은 아름다움이여 |
3.망초류(양재천 생태 탐방길에서 만난)
이것이야말로 정말무시무시 하다 아니할수 없다
오래전에 유입된 개망초는 귀화식물로 취급받기도 하지요
내가 요즘 야생화 탐방에 몰입하면서 느낀건데 전들판의 90%이상이 이식물군이 뒤덮고 있 다
망초 세상이라 아니할수 없을것이다 이식물에 의해 과거에 보아왔던 여타 야생화가 보이 질 않고 있다
인간에게는 가장관대한 식물이라 할수 있다 꽃도 예쁘고 식용으로도 가능하니 말이다
돌밑에 앙증스러운 망초 |
이 아름다움에 관대해질수 밖에 |
멀리 관악산을 배경으로 |
카리스마있는꽃이외래종이라고하는구나!
답글삭제야생화인상이강렬키는하네~~
인간중심사고!고정관념!상식초월!
짜라투스를뛰넘는종일